본문 바로가기

Language/C언어

C언어-문자열

데이터 - 정수

              - 실수

              - 문자열(String)

 

★ 문자열이란 ? 문자들의 연속된 집합 + 널문자(NULL)

 

★ 문자열을 다룰 수 있는 방법 - 포인터(char형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배열(char형) > 이러한 문법으로 다룬다.

 

★ ex) 문자열 >> "ABC"

 

★ char형 배열 사용

    "ABC"를 정의하면,

  >> '\0' 은 끝을 나타내는 문자이다. 즉, NULL(널)문자라고 한다.

  >> C언어에서는 문자열의 끝을 표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.

 

★ char형 포인터 사용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 주소를 담는 변수

  >> 0x100번지는 문자열의 시작주소이다

  >> 시작주소만 알면 문자열을 찾아 올 수 있다.

          이유 : 끝이라는 표식('\0')이 있기 때문이다.

 

char* s="ABC";

             상수

문자열의 시작주소를 s에담아라.

 

  >> 앞으로 문자열(char)이 보이면 주소(char*)라고 생각하기.

 

char* s="ABC";
 
printf("%s\n","ABC"); // ABC의 값이 출력될 것이다.
printf("%p\n","ABC"); // 문자열의 주소가 출력될 것이다.
printf("%s\n",s); // 배열인 문자열(ABC)가 출력될 것이다.
printf("%p\n",s); // 배열의 시작주소가 출력될 것이다.

★ 배열의 이름 = 배열의 시작주소

 

 
char arr[]="ABC"
 

 

※ 핑크색(변수), 주황색(상수)

 
char* s="ABC";
 

 

 

  >> 문자열 변경가능(write, read) -> 변수

       문자열 변경 불가능(read) -> 상수

'Language > 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언어 - 함수  (0) 2015.12.28
C언어[4] - 배열  (0) 2015.12.26
C언어[3]-포인터  (0) 2015.12.26
C언어[2]- 연산자  (0) 2015.12.22
C언어[1]-데이터, 메모리, 변수, 상수  (0) 2015.12.21